2022. 6. 2. 14:32ㆍIT Information
VPN 정의와 종류, 인기 순위 + 필자의 실사용 후기
VPN 정의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탄생했다.
다시 설명하면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세상을 내가 아닌 익명의 사용자가 되어 사용하는 것이다.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가는 요즘,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릴지도 모르겠다.
VPN 또는 가상 사설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통해 디바이스 간에 사설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합니다. VPN은 퍼블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익명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사용자 IP 주소를 마스킹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수신 권한이 없는 사람이 읽을 수 없도록 합니다.
VPN 종류
VPN의 종류는 다양하다.
사용하는 기술 방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고 사용료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다.
먼저 기술에 따라 VPN을 구분해 보고 각각의 특징을 알아보자.
- 기술에 따른 VPN
- PPTV VPN (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 터널을 생성하고 그 터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의 VPN
- ID, Pass를 통해 승인된 사용자만 VPN 사용 가능
- 추가 하드웨어 장비가 필요 없어 저렴하고 일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VPN
- 터널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의 암호화를 제공하지 않는 VPN
- Site to Site VPN
- 다양한 지역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네트워크간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VPN
- 일반적인 회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VPN
- 연결된 네트워크간 보안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통신하는 VPN
- L2TP VPN (Layer to Tunneling Protocol)
- Microsoft와 Cisco가 개발한 VPN
- 두 L2TP 연결지점간 터널을 생성하고 IPsec 프로토콜 같은 다른 VPN을 활용하여 보안을 강화한 VPN
- 암호화가 부족한 VPN
- IPsec (Internet Protocol Security)
- 원격 사이트에 터널이 생성되어 중앙 사이트에 액세스하는 방식의 VPN
-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을 보호하고 전송하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암호화하는 VPN
- 보안 향상을 위해 추가적인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는 VPN
- 클라이언트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VPN
- SSL 또는 TLS (Secure Sockets Layer, Transport Layer Security)
- 웹 브라우져가 클라이언트가 되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만 적용되는 VPN
- 주로 온라인 쇼핑몰이나 서비스 제공 업체에 의해 활용되는 VPN
- http가 아닌 https로 시작되는 URL에서 사용되는 VPN
- MPLS VPN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Site to Site 연결에 가장 적합한 VPN
- 여러 프로토콜에서 속도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표준 기반 리소스 VPN
- 구축 비용이 비싸고 설정이 어려운 VPN
- Hybrid VPN
- MPLS, IPsec을 결합한 VPN
- 다양한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그로 인하여 비용이 비싼 VPN
- PPTV VPN (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기술에 따른 VPN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자.
https://ko.vpnmentor.com/blog/different-types-of-vpns-and-when-to-use-them/
사용하는 요금에 따라 VPN을 구분하면 크게 무료와 유료로 나눌 수 있다.
유료 VPN은 다시 구독형과 구입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요즘은 구독형이 많아지고 있다.
비용은 VPN 프로그램마다 상이하지만 세일 기간과 캐시백 제공을 활용하면 50% 이상은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무료 VPN 경우 사용은 무료이지만 속도 제한, 광고 시청, 연결 세션 제한등이 있다.
유료 VPN의 경우 할인도 자주하고 캐시백 이벤트도 자주한다.
아래 사이트에서 원하는 VPN 프로그램을 검색하면 세일과 캐시백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캐시백을 받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하다.
필자 역시 할인 + 캐시백 이벤트 기간에 surfshark 프로그램을 구매했다.
위 이미지를 보면 작성 시점 기준 약 82% 세일과 85%의 캐시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VPN 순위
많고 많은 VPN 중 어떤 VPN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할까?
개인이 하나하나 VPN을 다 경험해보기엔 시간도 부족하고 금액도 만만치 않다.
이를 해결하고자 아래 사이트들은 일정 기간마다 VPN의 순위와 각 VPN의 특징을 알려준다.
추가로 유료 VPN 정보에 대해서만 알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도 참조해 보자.
https://bestkoreavpn.com/best-paid-vpn-compare-recommand-ranking/
두 가지 사이트 이외에 여러 포럼에서 사용자의 후기를 살펴봐도 부동의 1위는 Express VPN이다.
그 이외에 나름 유명한 VPN으로는 Nord VPN, Surf shark VPN, Vypr VPN 등이 있다.
VPN 후기
필자는 구글 확장프로그램을 포함해 다양한 VPN을 사용해 봤다.
처음에는 무료 VPN을 사용하다가 속도에 좌절하고 연결 안정성에서 또 좌절했다.
그러다가 Surfshark VPN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결제까지 해 만족하며 사용하는 중이다.
그 전엔 Softether VPN을 사용했는데 크게 이 두가지의 VPN 프로그램만 놓고 보자면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실사용자의 후기를 살펴보고 자신에게 맞는 VPN을 찾아보자.
Surfshark : https://surfshark.com/ko/
Surfshark 필자를 위한 추천인 코드 링크 : https://surfshark.club/friend/UURax6Qe
Softether : https://www.vpngate.net/en/download.aspx
- Surfshark
- 장점
- 연결 안정성이 우수하다
- 가성비가 좋다
-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가 무제한이다
- 일정 주기로 IP 변경이 가능하다
- 다양한 나라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 고정 IP 기능이 제공된다
- 단점
- 구독형 요금제다
- 우리나라 기준으로 일본 서버 연결이 가장 빠르다
- 한국 서버 고정 IP 제공이 없다
- 장점
- Softether
- 장점
- 무료이다
- 설치가 쉽고 사용 방법이 직관적이다
- 대한민국 VPN 서버가 많다
- 단점
- 속도가 제각각이다
- 리스트는 존재하나 연결이 되지않는 VPN 서버가 있다
- 연결이 자주 끊긴다
- 장점
그럼 끝.
'IT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원아빠] Synology NAS에 ipkg 설치하기 및 설치 오류 해결 (4) | 2022.07.27 |
---|---|
[리원아빠] NAS를 하드 드라이브처럼 iSCSI로 연결하기 (2) | 2022.07.25 |
[리원아빠] docker 개념 및 설치, 그리고 기본 설정 (저장위치 변경, 고정 IP 부여) (13) | 2022.07.12 |
[리원아빠] 간단한 1password 아이디, 패스워드 동기화 방법 (20) | 2022.03.27 |
[리원아빠] 패스워드 관리 끝판왕 1password 구독제 무료 사용 방법 (16)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