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원아빠] NAS를 하드 드라이브처럼 iSCSI로 연결하기

2022. 7. 25. 10:42IT Information

반응형

 


NAS를 내 PC에 iSCSI로 연결하여 하드 드라이브처럼 사용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PC에 NAS를 iSCSI로 연결하여 마치 로컬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다.

 

NAS를 NFS로 연결하는 것과 크게 차이는 없지만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사용하는 NAS영역이 아닌

 

나홀로 사용할 수 있는 개인적인 공간을 만들 수 있다는 것, 성능도 안정성도 NFS 보단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작성자의 환경은 Synology + 윈도우10 환경이지만 다른 환경에서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먼저 NAS로 접속해 SAN Manger를 실행한다.

 

Synology DSM이 구버젼이라면 iSCSI Manger를 실행해야한다

 

 

SAN Mamager (iSCSI Manager)를 실행하고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LUN 항목을 선택한다.

 

미리 LUN을 생성하지 않았다면 작성자처럼 생성 버튼만 보일것이고 

 

이 생성 버튼을 눌러 새로운 LUN을 생성하자.

 

 

LUN 생성 단계이다.

 

이름은 원하는 이름으로 세팅하면 된다.

 

공간할당 항목을 우수한 선능으로 선택할 경우 용량의 의미는 미리 할당해 놓을 용량을 의미한다.

 

상식적으로 용량을 미리 할당해 놔야지 사용할 때마다 용량을 할당하는 작업을 하게 되면 성능이 떨어지지 않겠는가?

 

작성자는 이름은 NAS로 용량은 넉넉하게 512G로 설정했다.

 

 

그 다음은 권장값을 선택하고 액세스 권한은 모두 허용으로 설정하자.

 

어차피 iSCSI로 연결하면 1:1 맵핑이 되기때문에 다른 사람은 사용할 수 없다.

 

 

새로운 LUN 생성이 완료되었다.

 

자신이 설정한 이름, 용량, 권한등이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자.

 

 

LUN 생성이 완료되면 이전에 생성 메뉴만 보였던 곳에 

 

방금 생성한 LUN 정보가 나타난다.

 

 

이제 생성한 LUN을 iSCSI로 사용하도록 설정을 해야한다.

 

iSCSI 메뉴로 이동하자.

 

DSM이 신버젼이라면 자동으로 설정이 되어있고 구버젼이라면 생성한 LUN과 맵핑을 시켜줘야 한다.

 

여기서 확인되는 IQN은 나중에 연결될 때 사용되는 유니크한 값이다.

 

 

맵핑이 완료되면 ISCSI 편집 메뉴를 눌러 연결시 인증단계를 활성화 할 수 있다.

 

CHAP 활성화를 체크하게 되면 설정한 유저와 패스워드를 통해서만 연결이 가능하다.

 

작성자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것 처럼 iSCSI 연결은 연결된 PC만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기때문에 비활성화 했다.

 

 

이제 윈도우에서 설정을 해줘야 한다.

 

윈도우 메뉴에서 iSCSI 초기자를 실행한다.

 

실행 후 대상 항목에 NAS의 IP를 입력하고 빠른 연결을 눌러준다.

 

 

설정이 정상적으로 잘 되어 있다면 위 화면처럼 NAS에서 확인했던 IQN 값이 나타난다.

 

NAS에서 확인했던 IQN 값이 맞다면 완료 버튼을 눌러 연결을 마무리한다.

 

 

이제 iSCSI로 연결된 NAS 영역을 PC 디스크로 사용하도록 포맷하고 드라이브를 지정해주자.

 

윈도우의 경우 디스크 관리는 아래 명령어로 실행이 가능하다.

 

diskmgmt.msc

 

디스크 관리를 실행하면 새로 연결된 디스크가 있다며 초기화를 해야한다는 팝업 메뉴가 나타난다.

 

파티션 형식을 GPT로 설정하고 확인버튼을 눌러준다.

 

 

iSCSI로 연결된 NAS의 512G 영역이 확인된다.

 

하지만 위 사진처럼 아직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것은 아니다.

 

초기화한 디스크 영역을 새로운 불륨으로 구성해줘야 한다.

 

 

디스크 이름은 불륨 레이블 항목에 설정하고 원하는 드라이브 경로를 선택 후

 

빠른 포맷으로 해당 디스크를 포맷한다.

 

 

 

포맷이 완료되면 이제 PC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설정했던 드라이브명과 레이블명으로 추가된 디스크가 확인된다.

 

 

윈도우 탐색기에서도 추가한 디스크가 확인된다.

 

NFS로 연결된  NAS 영역은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확인되지만

 

같은 NAS여도 iSCSI 방식으로 연결한 영역은 로컬 디스크처럼 확인된다.

 

그럼 끝.

반응형